라즈베리 파이5 레시피 #7: 개발자를 위한 실시간 전력 모니터링 대시보드 구축기
·
Research/Raspberry Pi
안녕하세요! 지난 편에서 Shelly Plug S의 기본 설정과 로컬 API 확인까지 마쳤습니다. 이제 진짜 개발자다운 모니터링 시스템을 구축해보겠습니다!클라우드의 1시간 단위 제약을 벗어나 실시간 데이터 수집과 전문적인 시각화를 구현해보죠.🐳 시스템 아키텍처 설계우리가 구축할 모니터링 스택:Shelly Plug S (192.168.0.115) ↓ REST API (JSON)json-exporter (Docker Container) ↓ Prometheus MetricsPrometheus (Time Series DB) ↓ Data SourceGrafana (Professional Dashboard)각 컴포넌트의 역할:json-exporter: Shelly API를 Prometheus 메트..
라즈베리 파이5 레시피 #6: Shelly Plug S로 실시간 전력 모니터링 시작하기
·
Research/Raspberry Pi
안녕하세요! 라즈베리 파이 클러스터로 Elasticsearch 성능 연구를 진행하면서, 전력 소비량 분석의 필요성을 느끼게 되었습니다. 고성능 서버 대비 RPi5의 성능/전력 효율성을 측정하려면 정확한 전력 데이터가 필수적이죠.오늘은 Shelly Plug S를 활용해 실시간 전력 모니터링 환경을 구축하는 과정을 공유해드리겠습니다!🔌 Shelly Plug S를 선택한 이유시중에는 다양한 스마트 플러그가 있지만, Shelly Plug S를 선택한 이유는:로컬 API 지원: 클라우드 없이도 실시간 데이터 수집 가능정확한 전력 측정: 전압, 전류, 전력, 누적 전력량까지 상세 데이터 제공개발자 친화적: REST API로 JSON 형태의 데이터 제공합리적인 가격: 2-3만원대로 전문 장비 대비 저렴🚀 1단계:..
라즈베리 파이5 레시피 #5: 포트포워딩 없이 외부에서 원격 접속하는 법! (feat. Tailscale)
·
Research/Raspberry Pi
안녕하세요! 오늘은 라즈베리 파이 클러스터를 연구실 내부뿐만 아니라 외부에서도 자유롭게 접속할 수 있는 방법을 소개해 드리려고 합니다. 특히 학교나 회사처럼 네트워크 방화벽이 엄격하게 설정된 환경에서도 문제없이 원격 접속할 수 있는 Tailscale VPN을 활용한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원격 접속의 필요성과 문제점라즈베리 파이 클러스터를 구축하면 어디서든 접속해서 작업하고 싶은 욕구가 생기기 마련입니다. 기존에는 연구실 내부에서 165.x.x.x 대역의 네트워크를 통해 SSH로 접속했지만, 집이나 카페 등 외부에서도 편리하게 접속하기 위한 방법이 필요했습니다.❌ WireGuard는 왜 안됐을까?처음에는 WireGuard VPN을 사용하려 했지만, 여러 제약 사항으로 인해 적용이 어려웠습니다.1. 네..
라즈베리 파이5 레시피 #4: 클러스터 확장 - RPi 추가 시 SSH 설정 가이드
·
Research/Raspberry Pi
📢 이 글은 "초기 세팅"이 아닌 "운영 중 클러스터 확장" 상황을 기준으로 작성되었습니다. (초기 세팅 가이드는 ➡️ 라즈베리 파이5 레시피 #3: 초기 클러스터 구축 가이드를 참고해주세요!)안녕하세요! 오늘은 라즈베리 파이 클러스터를 확장할 때 꼭 필요한 SSH 설정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클러스터에 새로운 라즈베리 파이를 추가하면서 고생했던 경험을 바탕으로 정리했으니 많은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 목표새로운 라즈베리 파이를 클러스터에 추가할 때 SSH Key 인증과 ProxyJump 설정 방법 정리모든 라즈베리 파이 간 비밀번호 없이 SSH 접속이 가능하도록 설정PC에서 각 라즈베리 파이로 한 번에 접속할 수 있는 환경 구축1️⃣ 모든 라즈베리 파이에서 SSH Key 생성 및 공..
라즈베리 파이5 레시피 #3: SSH 키 인증과 ProxyJump 설정으로 클러스터 관리 효율화하기
·
Research/Raspberry Pi
안녕하세요, 라즈베리 파이 클러스터를 구축하고 있는 여러분! 오늘은 여러 대의 라즈베리 파이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꿀팁을 공유해 드리려고 합니다. 라즈베리 파이 클러스터를 운영하다 보면 SSH로 여러 기기에 접속하는 일이 많은데요, 매번 비밀번호를 입력하는 것은 정말 번거롭죠. 그래서 이번 포스팅에서는 SSH 키 인증 설정과 ProxyJump 기능을 활용해 클러스터 관리를 획기적으로 편하게 만들어 보겠습니다!📝 목표이번 설정을 통해 우리가 달성하고자 하는 목표는 다음과 같습니다:Windows PC에서 메인 라즈베리 파이(pi1)로 비밀번호 없이 SSH 접속메인 라즈베리 파이(pi1)에서 다른 파이들(pi2~pi4)로 비밀번호 없이 SSH 접속Windows PC에서 한 번에 모든 라즈베리 파이에 쉽..
라즈베리 파이5 레시피 #2 : PCIe & SSD 초고속 튜닝
·
Research/Raspberry Pi
안녕하세요! 라즈베리 파이5 레시피 시리즈 두 번째 이야기를 시작합니다. 지난 포스팅에서 SSH와 기본 보안 설정을 완료했다면, 이제 진짜 꿀잼이 시작됩니다. 오늘은 라즈베리 파이5의 가장 혁신적인 기능인 PCIe 인터페이스를 활성화하고 NVMe SSD를 연결해서 우리의 작은 서버를 초고속으로 업그레이드해볼 거예요! 🚀🔥 오늘의 목표: SD카드보다 최대 10배 빠른 저장 장치로 라즈베리 파이 성능 폭증시키기!⚡ PCIe가 뭐길래 이렇게 난리인가요?PCIe(PCI Express)는 컴퓨터 내부 확장 장치를 연결하는 초고속 인터페이스입니다. 라즈베리 파이 이전 세대에서는 꿈도 못 꿨던 기능인데, 파이5에서 드디어 실현되었어요! 이 인터페이스가 있으면 NVMe SSD, Wi-Fi 6E 카드, 캡처 카드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