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사의 미드필더는 PM이다 [7가지 코드 中 Code1~3]
·
Data Science/Data Insight
PM이 어떻게 제품을 설계하는지가 회사의 성공을 결정한다     제품의 전반적인 perormance를 높이기 위하여 팀원드로가 소통하며 디자인과 개발 파트까지 모두가 최상의 performance를 낼 수 있도록 도움을 주는 사람이다. 의견을 제시하고 조율하려면 각 분야의 모든 지식을 이해하고 있어야 하고, 고객들의 마음은 물론 시장상황이 어떻고, 상품 판매 전략은 어떻게 해야 하는지, 비용을 고려하여 가격은 얼마로 하는 것이 적당한지에 대한 고민까지 하는 역할이다. 축구에도 이런 말이 있다. "중원을 지배하는 팀이 승리한다." 축구장에서 공격과 수비 사이의 공간인 중원은 경기를 풀어나가는 가장 중요한 공간이다. 이 공간에서 빌드업을 어떻게 쌓아나가는지가 팀의 성격을 결정하고 결국 골을 넣을 수 있는지, ..
‘무엇을 보는지’보다 ‘어떻게 보는지’가 중요하다 [퇴사준비생의 도쿄 2]
·
Data Science/Data Insight
고객들은 상품을 보는가, 상품을 보는 스스로를 보는가? 가게는 물건을 판매하기 위해서 경쟁사보다 얼마나 뛰어난지를 홍보하고, 우리 물건이 얼마나 좋은지 보여주려고 한다. 고객들에게 이 물건이 얼마나 뛰어난지 소개하기 바쁘며, 물건에 대한 홍보가 주를 이루게 된다. 지갑을 열게 하기 위해서 상품의 가치를 앞세우는 것인데, 이것이 사실 쉽지가 않다. 소비자가 상품 자체의 경쟁력이나 장점만으로 마음이 생겨서 구매행동으로 이어지지는 않는 까닭이다. 오히려 중요한 것은 상품을 고객이 어떻게 즐기게 하는지이다. 고객이 우리 상품을 있는 그대로 즐기면 새로운 경험의 장에 빠지고 어느새 본인의 취향과 관심을 확인하면서 상품은 고객의 마음에 들어가게 된다. 서비스의 기획이 빛을 발하는 대목이다. 단순히 고객을 위한다는 ..
Review >> Data Science for Everybody
·
Data Science
수료를 했다. 어떤 기분인가? 첫 발걸음을 떼었다. 데이터 사이언스가 무엇인지 전체적인 개론 수업을 들은 느낌이다. 느낌이 좋다. 이 분야가 실용적인 행동을 추구하는 분야라고 느껴지기 때문이다. 데이터 사이언스가 비지니스의 문제에서 시작해서 데이터를 분석하고 시각화해서 알고리즘을 이용해 머신러닝으로 비즈니스의 문제를 해결하려고 한다는 그 백그라운드가! 굉장히 멋있어 보인다. 내가 어느 필드에서 더 전문적인 역량을(도메인 지식) 향상시킬지는 탐구해봐야겠으나 우선, 컴퓨터 과학이라는 수없이 넓은 대지에서 프론트엔드와 백엔드, 클라우드 엔지니어와 앱 개발자 등 수많은 후보지들의 비교 끝에 가장 공부하고 싶은 분야를 찾은 것이 기쁘다. 본 수업은 6시간짜리 수업이었다. 나는 모든 강의를 2배속으로 들었지만 실습..